카테고리 없음

무릎에 물이 차는 이유와 물이찼을때 증상

HAN선생 2025. 2. 14. 22:29

 

 

출처 : Thieme Atlas of Anatomy: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도서
출처 : Thieme Atlas of Anatomy: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도서

 

 

 

무릎에 물이 차는 것은 무릎 관절삼출(Knee Joint Effusion)이라고 하며, 관절 내에 과도한 활액(Synovial Fluid)이 축적되는 현상입니다. 활액은 연골을 감싸고 있는 활막(Synovial Membrane)에서 분비되고 필요하면 다시 흡수하여 활액양을 조절합니다
 
무릎 관절이 손상되거나 염증 반응이 발생할 때 몸은 보호 기전으로 활액을 과도하게 생성합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면 염증이 발생하면 면역세포가 활성화되고 염증 물질(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등)이 생성됩니다 염증 물질들은  혈관벽을 확장시키면서  혈관벽이 느슨해지면서 혈장(수분과 단백질 등)이 조직 사이로 빠져나옵니다 그렇게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물이차고 붓기 시작합니다 그때 우리는 무릎에 물 찼다는 진단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염증 없어도 무릎에 물이 찰 수 있습니다. 무릎 관절 내 활액(관절액, synovial fluid)은 원래 윤활 역할을 하지만, 특정한 조건에서 염증이 없더라도 관절 내에 활액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축척될 수 있습니다

염증 없어도 무릎에 물이 차는 이유

1  과사용(Overuse)으로 인한 일시적인 활액 증가
장거리 걷기, 등산, 스쿼트, 점프 운동 등 무리한 운동 후에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면 보호 반응으로 활액이 과다 분비 될 수 있습니다
활액은 젤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무리한 운동이나 장시간 서 있으면 무릎이 반복적으로 충격을 받는데, 이때 활액이 많아지면 완충 역할을 하여
연골이 직접 손상되는 것을 줄여줍니다 
 교사, 간호사, 요리사 등 오래 서 있는 직업에서도 일지적으로 무릎에 물이 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무릎에 물 차는 현상 시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면 부종이 자연스럽게 감소합니다
2 비만 및 무릎 관절 압력 증가
체중이 많이 나가면 관절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관절액이 과다 분비될 수 있습니다 특히, 허벅지 근력이 약한 경우 무릎에 더 큰 부담이 가해집니다 이런 분들은 운동 후 무릎이 자주 붓지만, 통증이 심하지 않습니다
3 림프 순환 장애, 정맥순환 문제 등의 순환문제
장시간 앉아 있거나 다리를 꼬고 있는 습관이 있는 경우나 정맥류나 림프부종 환자의 경우 무릎뿐만 아니라 다리 전체가 붓는 경향이 있습니다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체액이 무릎 관절 주변에 정체되면서 부종 유발하게 됩니다
4 노화로 인한 관절액 조절 기능 저하
나이가 들면서 활막(Synovial membrane)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관절액의 흡수와 분비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특별한 염증이 없어도 무릎이 자주 붓는 느낌이 들고 물이 고일 수 있습니다  무릎이 자주 부어서 뻣뻣함을 호소합니다  

무릎에 물이 차는 이유가 가벼운 경우라면 휴식과 냉찜질을 하면 자연스럽게 부기가 빠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벼운 운동을 통해 활액의 흡수를 돕고 부종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 차는 게 자주 반복되거나, 통증이 동반되면 병원에서 원인을 정확히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릎에 물이 찼을 때 증상

ㆍ활액이 적당하면 보호 효과가 있지만 너무 많아지면 관절낭(Joint Capsule)과 주변 조직이 팽창하면서 압박을 가해 무릎이 붓고 둔탁한 느낌이 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ㆍ무릎이 부으면 뻣뻣해지고 가동 범위(Range of Motion)가 줄어들어 정상적인 움직임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무릎이 뻣뻣하고 구부리거나 펴기 어려워집니다
ㆍ관절 움직임 제한으로 움직임이 줄어들면 주변 근육이 약해지고, 오히려 무릎이 더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무릎을 디딜 때 힘이 빠지거나 흔들리는 느낌을 느낄 수 있습니다
ㆍ 활액이 과도하게 차면 활막(Synovial Membrane)이 지속적으로 자극받아 염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관절염(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염증이 심할 경우 무릎이 뜨겁고 붉어질 수 있습니다


무릎에 물이 찼으면 일시적인 증상인지 지켜보다가 활액이 자연스럽게 줄어들지 않거나, 통증이 심하면 병원에서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