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킨슨병 초기증상과 원인 실제사례 및 자가진단법

by 헤세드Han 2025. 3. 23.

파킨슨병이란?


파킨슨병이란 우리 몸을 움직이게 해주는 뇌의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점 망가져서, 몸을 잘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병입니다 뇌 속에 있는 도파민이라는 신경물질은 운동 스위치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때에 맞게 운동 스위치인 도파민이라는 신경물질 덕분에 몸이 잘 작동하는 겁니다 파킨슨병은 그 운동스위치가 고장 나서 몸이 떨리고, 움직임이 느려지고, 근육이 뻣뻣해지고, 균형 잡기 어려워지는 병입니다 그 운동 스위치의 기능이 떨어져, 즉 뇌의 도파민 세포가 점점 사라져 몸이 내 마음대로 잘 안 움직임이게 되는 병입니다 쉽게 비유하면 자동차 브레이크가 계속 살짝 걸려 있어서  가고 싶어도 제대로 못 가고 작동이 제대로 안 되는 병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파킨슨병의원인

파킨슨병의 원인은 명확히 하나로 딱 떨어지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 주요 원인과 기전이 밝혀져 있습니다 파킨슨병 원인은 크게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출처 : Thieme Atlas of Anatomy

 

1 도파민 신경세포 파괴 (가장 핵심적인 원인)


뇌의 흑질(Substantia Nigra)이라는 부위에 있는 도파민 분비 신경세포가 점점 파괴되는게 핵심적인 원인이 됩니다 도파민은 운동 조절, 감정, 학습 등 여러 기능에 관여하는데 도파민 세포가 50~70% 이상 파괴되면 운동 조절이 제대로 안 되어 파킨슨병 증상 (떨림, 경직, 느린 움직임 등) 발생하게 됩니다 

 


2 다른 세부적인 원인들

(1) 유전적 요인 (약 10~15% 관련)
 LRRK2, PARK7, PINK1, SNCA, GBA 유전자 변이가 일부 파킨슨병 환자에서 발견됐습니다 파킨슨병 환자분들 중 약 10 ~ 15%는 가족력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유전 원인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환경적 요인
 농약, 제초제 (ex. 파라콰트, 로테논) , 중금속(망간, 납 등) , 산업 독성물질 (탄광, 공장 근무자 일부에서 높게 나타남) 특정 독성 물질 노출시 파킨슨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으로 머리 외상 병력도 파킨슨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3) 노화 관련
노화로 뇌신경세포의 자연적인 퇴화되면 파킨병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노화와 관련 있기 때문에 60세 이상에서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주로 50대 후반~60대 초반부터 시작)


3 세포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1)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단백질 이상
알파-시누클레인은 도파민 세포 안에 정상적으로 있는 단백질입니다 정상 상태에서는 도파민 세포 내에서 신경전달물질(도파민 등) 운반, 방출 조절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합니다 그런데 알파-시누클레인이 구조적으로 비정상적으로  뭉치면 덩어리(루이소체)가 됩니다 이 덩어리(루이소체)가 세포 안에서 쓰레기처럼 쌓여서, 세포 기능을 방해하고 독성을 일으켜 도파민운반 및 방출을 방해하여 파킨슨병이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산화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
활성산소(Free Radical)가 과도하게 쌓이면서 세포가 손상되는데 뇌는 산소 사용량 많아 산화스트레스에 취약합니다 그래서 활성산소가 쌓으면 도파민 세포 손상 가속되므로 파킨슨병이 발병될 수 있습니다
 
(3) 미토콘드리아 기능 저하
미토콘드리아에서 만들어진 에너지(ATP)는 도파민 분비과정도 많이 쓰이는데 미토콘드리아(세포 에너지 공장)가 기능이 저하되면 제대로 에너지(ATP)를 못 만들게 되면 도파민을 제대로 만들고, 저장, 방출하지 못하게 되어 파킨슨병이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염증 (Neuroinflammation)
미세아교세포(Microglia)란 뇌 속 면역세포느 뇌의 청소부, 방어병 역할을 합니다 뇌에 이상이 생길 시 미세아교세포(Microglia)가 병원균 제거, 손상된 세포 청소 염증 물질 조절을 해줍니다 문제는 미세아교세포 '과활성화' 됐을 때입니다 미세아교세포(Microglia) 과활성화되어 필요 이상으로 공격적이 되면 염증 유발 물질(사이토카인, 활성산소 등) 많이 분비하게 됩니다 민감도가 높기로 유명한 도파민 세포는  쉽게 손상을 받습니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도파민세포가 민감한 꽃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미세아교세포가 너무 자주 물 대신 독성 산성비(염증 물질)를 맞게 되면 꽃(도파민 세포)이 시들고 죽어버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파킨슨병 초기 주요 증상 & 시기별 파킨슨병 자가진단 리스트

 

◈ 실제사레  : 저희 시아버지가 파킨슨병 진단받기까지 10년 동안 헤맸던 사례를 얘기하려 합니다 50대 중반 어느 날부터 갑자기 잠꼬대등 수면장애와 더불어 변비약을 먹어도 해결되지 않은 변비를 앓으셨습니다 그래서관련된 내과와 정신과 등 병원을 수시로 다니면서 나아지길 바랬지만 만성으로 증세가 반복됐습니다. 그리고 60대부터는 목결림 및 뻗뻗함 허리통증을 호소하셨습니다. 정형외과 & 재활의학과에서는 엑스레이 촬영 후 단순히  퇴행성질환으로 분류되어 그쪽으로만 치료집중했고 60대 중반부터는 걸음보폭이 현저히 작아졌고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도 느려지며 차에 오르고 내리는 것도 힘들어하셨습니다. 단순히 허리통증, 척추통증으로 생각했었습니다. 60대 후반 때는 느려진 동작과 굳은 표정, 현저히 적어진 얼굴표정으로 오랜만에 본 지인분들은 어디 몸이 편찮으시냐며 안부를 꼭 물어봤습니다 파킨슨병은 병명자체만으로 무겁기 때문에  시아버지께 파킨슨병과관련된과로 가보자고 권하기 어려웠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시아버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신랑이 지금까지 추적증상을 고려하여 시아버님을 파킨슨병 관련과로 모시고 가서 영상학진단(펫시티)을
진행했습니다 그렇게 파킨슨병이 진단 확정을 받게 되었습니다
진단을  더 늦게 받게 된 이유는 시골에서 나름 크다는 종합병원에서도 나이가 들어가면서 느려지는 증상이라고 단정지었기에 파킨슨병이라고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파킨슨병 초기증상은 진행 속도가 개인마다 다르긴 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순서와 시기별 특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전운동기 (Pre-motor phase):  운동 증상 나타나기 전, 비운동 증상 먼저 발생합니다 운동기 발병 10년 전부터 전운동기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 시기에는 보통 사람들이 파킨슨병과 연결 짓지 않습니다  병원에서도 기존에 갖고 있는 노인성 질환 때문에 쉽게 파킨슨진단을 결론짓기 어려워하므로 가까운 가족들이 주의 깊게 관찰하여 파킨슨치료가 늦춰지지 않게 해주는게 중요합니다
< 전운동기 자가진단리스트 >
- 후각 저하 :냄새를 잘 못 맡음(가장 먼저 나타날 수 있음)
- 변비 : 장운동 느려져 평소보다 심한 변비를 호소합니다
- 수면 장애 (REM 수면 행동장애) : 꿈을 꾸면서 몸을 실제로 움직이는 몽유병 같은 증상, 잠꼬대
- 우울, 불안, 무기력감 : 원인 모를 기분 변화
- 피로감, 무기력 :자주 피로하고 활력이 떨어짐 
- 소화불량 : 자율신경 이상으로 위장 운동 저하
 

2 초기 운동기 (Early Motor Phase): 발병 후 1~2년 내 : 대표적인 ‘운동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
< 초기운동기 자가진단리스트 >
- 한쪽 손, 발 떨림 (Resting Tremor) : 가만히 있을 때 한쪽 손, 발 미세하게 떨림
- 움직임 느림 (서동증, Bradykinesia) : 일상 움직임이 점점 느려지고 둔해짐
- 근육 경직 (Rigidity) :  팔, 다리, 목이 뻣뻣, 어깨 결림처럼 느낌 
- 글씨 작아짐 (소필증) : 글씨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알아보기 힘듦 
- 한쪽 표정 굳음 (가면 얼굴) : 표정 변화 감소, 무표정해 보임 

3 진행기 (2~5년) : 운동 증상 양쪽으로 확장 + 균형 문제

출처 : Thieme Atlas of Anatomy



< 진행기 자가진단리스트 >
- 양쪽 손, 발 떨림 : 초기엔 한쪽으로 시작하여 점점 양쪽으로 확산 
- 균형 문제 : 걷다가 넘어질 위험 증가 
- 자세 앞으로 굽음 (전경) : 몸이 앞으로 구부정해짐 
- 보폭 짧아짐 , 발 끌기 : 작은 보폭, 발을 질질 끌면서 걷기 
- 목소리 작아짐 (발성 문제) : 목소리 점점 작고 단조롭게 
- 침 분비 증가 : 침 흘림  얼굴, 구강 근육 긴장으로 조절 어려움 

4 후기 (5년~)

출처 : Thieme Atlas of Anatomy


< 후기 자가진단리스트 >
- 일상생활 자립 어려움
- 인지기능 저하 (파킨슨 치매 동반 가능)
- 심한 자세 불안정, 낙상 위험

 

파킨슨병을 진단받은 시아버님은 파킨슨병으로 처방받은 약을 드신 후 지금은 동작도 훨씬 빨라지고
목결림, 허리통증도 많이 완화되셨습니다 파킨슨병은 약만 잘 드시면 겁내지 않아도 되는 질병입니다

꼭 시기별 자가신단 리스트를 체크해서 하루 라도 빨리 치료시작하여 건강한 하루를 되찾길 바랍니다 파킨슨에 관련되어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