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에서 소리가 나고 턱 디스크가 있으면 턱관절이 불안정하게 됩니다 턱관절의 불안정성을 보상하고자 턱관절 주변 근육들이 과도하게 긴장하게 됩니다 근육긴장으로 나타난 턱관절장애를 완화하려면 턱 주변 근육을 풀어주고, 턱관절을 안정화하는 운동을 해야 합니다.
턱관절의 불균형과 긴장은 교근(Masseter), 측두근(Temporalis),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 외측익돌근(Lateral Pterygoid)에서 발생합니다. 이 근육들의 긴장을 풀고 이완시켜야 턱관절장애(측두하악장애, TMJ 장애)가 완화됩니다
오늘은 교근이 긴장했을때 턱관절장애를 일으키는 기전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근(Masseter)은 씹을 때 아래턱을 위로 올려 입을 다물도록 사용하는 근육으로, 과도한 사용 시 긴장되기 쉽습니다. 교근(Masseter Muscle)이 긴장하면 턱관절 장애(TMJ 장애)를 유발합니다
교근이 긴장할시 턱관절장애 증상 및 턱관절장애 일으키는 기전
1 턱관절에 비정상적인 압력 증가
교근이 지속적으로 긴장하면 턱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합니다. 특히 한쪽 교근이 더 긴장하면 턱이 한쪽으로 치우쳐 정렬이 틀어질 수 있습니다.
2 턱디스크(관절원판) 변위 발생
턱관절에는 턱뼈(하악골)와 두개골(측두골)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관절원판, Articular Disc)가 있습니다. 교근이 긴장하면 턱이 비정상적으로 닫히면서 디스크가 앞쪽으로 밀려나 이동(탈구)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턱관절에 과도한 압력 가해짐으로써 디스크 변위가 일어납니다 턱디스크 탈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턱관절에서는 관절원판(디스크)이 하악과두(condyle) 위에 위치합니다 그런데 교근이 과도하게 발달하면 하악골이 후상방(뒤쪽과 위쪽)으로 밀려나면서, 디스크가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특히, 측두근(temporal muscle)과 함께 작용할 경우, 하악골이 더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디스크가 전방으로 탈구될 위험이 증가합니다 한쪽 교근이 비대하면 강한 쪽의 관절 원판(Articular Disc)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밀리고, 반대쪽의 하악과두(Condyle of Mandible)가 후방으로 밀릴 가능성 있습니다
3 입벌리기 어려운 턱관절 운동 범위 제한
턱이 잘 안 벌어지거나 한쪽으로 치우칩니다 교근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입을 벌릴 때 반대 작용을 하는 근육(익돌근, 턱을 여는 근육)의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심할 경우 입이 아예 안 벌어지거나, 한쪽으로만 벌어지는 현상(비대칭 발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쪽 교근이 더 강하면, 그쪽에서 강한 수축이 발생하여 하악골이 해당 방향(동측)으로 당겨집니다 이는 교근의 기능 중 하나인 하악골 거상(Elevation)과 일부 전방 이동(Protrusion)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하악골이 강한 쪽으로 편위(Lateral Deviation)될 수 있습니다
저작 시 한쪽만 사용하는 습관이 있다면, 해당 방향으로 하악골이 기울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결과적으로 강한 교근이 있는 쪽의 턱관절(TMJ)이 더 압박되고, 반대쪽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패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입벌릴때 턱에서 소리
턱관절 불균형(측두하악관절 장애, TMD 발생 가능)으로 강한 쪽의 턱관절이 압박되면서 디스크 변위가 생기면서 입을 벌릴 때 ‘딱’ 소리(Clicking)가 나거나, 통증 및 턱이 걸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5 연관 통증(두통, 목·어깨 통증)
교근은 측두근과 함께 작용하며 관자놀이 근처에서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교근 긴장은 목과 어깨 근육(승모근, 흉쇄유돌근)에도 영향을 주어 목·어깨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측두근, 익돌근과 연계된 두통, 목·어깨 통증 발생합니다
5 이갈이(Bruxism)와 악순환 발생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이를 꽉 무는 습관이 생기고 이갈이를 합니다 이갈이는 턱관절에 지속적인 충격을 주어 턱관절 장애를 더욱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만듭니다 교근이 긴장하면 무의식적으로 이를 꽉 무는 습관(이갈이)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6 부정교합
하악골 위치가 변하면서 치아의 맞물림이 달라져 부정교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턱관절 마사지 교근 긴장 완화 방법
1 교근 마사지 이완법
ㆍ손가락을 턱 옆(볼 아래쪽) 교근 부위에 둡니다.
ㆍ부드럽게 원을 그리며 마사지합니다. (30초~1분)
ㆍ이완을 돕기 위해 따뜻한 수건을 얼굴에 올려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2 교근 이완 스트레칭
ㆍ교근 수축시 턱을 닫아주는 작용을 하는데 교근을 스트레칭하기 위해 입을 천천히 벌려 최대한 크게 엽니다.
ㆍ 3~5초 유지 후 천천히 닫습니다. (10회 반복)
ㆍ 입을 벌릴 때 턱이 한쪽으로 치우치는지 확인하면서 진행합니다
3 혀를 입천장에 붙이고 턱 힘 빼기
ㆍ 평소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다면, 혀를 입천장에 가볍게 붙이고 턱 근육에 힘을 빼는 연습을 하세요.
4 교근 긴장 줄이는 생활 습관
ㆍ 한쪽으로만 씹지 않고 양쪽 골고루 사용합니다 한쪽 저작 습관이 있으면 반대쪽도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ㆍ 너무 단단한 음식(견과류, 질긴 고기) 피하기
ㆍ 스마트폰 사용 시 고개 숙이지 않기(거북목 방지)
ㆍ턱을 괴는 습관 없애기
ㆍ 수면 중 이갈이가 있다면 마우스피스 착용 고려
ㆍ필요 시 강한 쪽 교근에 보톡스를 맞아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ㆍ부정교합이 심한 경우 치과 교정 치료 고려합니다
교근 마사지, 턱 스트레칭, 생활 습관 교정을 통해 교근을 이완하면 턱관절 장애를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