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 출산후 운동 언제부터 가능할까요? 출산 후 운동은 릴렉신(Relaxin) 호르몬 때문에 주의하고 조심해야 합니다 임신 4~5개월부터 출산 후에도 릴렉신(Relaxin) 호르몬이 나오는데 이 호르몬은 특성상 관절 이완을 만들어 불안정성을 요할 수 있습니다출산 후에도 릴렉신(Relaxin) 호르몬이 남아 있는 이유 1. 출산 후 열린 골반 닫히는 과정에서 회복을 돕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골반과 관절의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합니다2. 출산으로 손상된 조직은 섬유화가 되서 조직자체가 탄성이 떨어지는데 회복되는 동안 릴렉신이 작용해서 탄성 없는 조직을 유연하게 해 줘 조직 회복을 지원합니다 3. 모유 수유 중 에스트로겐 수치가 낮아지면서 릴렉신이 더 오래 유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출산 후 운동 주의할 점은?ㆍ관절과 인대가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2025. 2. 14. 무릎에 물이 차는 이유와 물이찼을때 증상 무릎에 물이 차는 것은 무릎 관절삼출(Knee Joint Effusion)이라고 하며, 관절 내에 과도한 활액(Synovial Fluid)이 축적되는 현상입니다. 활액은 연골을 감싸고 있는 활막(Synovial Membrane)에서 분비되고 필요하면 다시 흡수하여 활액양을 조절합니다 무릎 관절이 손상되거나 염증 반응이 발생할 때 몸은 보호 기전으로 활액을 과도하게 생성합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면 염증이 발생하면 면역세포가 활성화되고 염증 물질(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등)이 생성됩니다 염증 물질들은 혈관벽을 확장시키면서 혈관벽이 느슨해지면서 혈장(수분과 단백질 등)이 조직 사이로 빠져나옵니다 그렇게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물이차고 붓기 시작합니다 그때 우리는 무릎에 물 찼다는 진단을 받게 됩니다 그.. 2025. 2. 14. 입 벌릴때 턱에서 딱딱 소리가 나요 턱디스크있는경우 치료방법 - 교근(Masseter) 턱에서 소리가 나고 턱 디스크가 있으면 턱관절이 불안정하게 됩니다 턱관절의 불안정성을 보상하고자 턱관절 주변 근육들이 과도하게 긴장하게 됩니다 근육긴장으로 나타난 턱관절장애를 완화하려면 턱 주변 근육을 풀어주고, 턱관절을 안정화하는 운동을 해야 합니다. 턱관절의 불균형과 긴장은 교근(Masseter), 측두근(Temporalis),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 외측익돌근(Lateral Pterygoid)에서 발생합니다. 이 근육들의 긴장을 풀고 이완시켜야 턱관절장애(측두하악장애, TMJ 장애)가 완화됩니다오늘은 교근이 긴장했을때 턱관절장애를 일으키는 기전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근(Masseter)은 씹을 때 아래턱을 위로 올려 입을 다물도록 사용하는 근육으로, 과도한.. 2025. 2. 13. 치료잘하는 도수치료사 물리치료사 추천 근육이 아프고 관절이 아프면 사람들은 얼른 낫고자 비싼 비용에도 기대를 갖고 도수치료, 물리치료를 받으러 갈 겁니다 두 가지 타입의 물리치료사를 만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물리치료사는 의사 선생님이 내린 진단차트를 보고 바로 내 아픈 부위를 시원하게 치료해줍니다 환자는 만족스러워합니다 두 번째 물리치료사도 의사 선생님이 내린 진단차트를 보고 옵니다 하지만 바로 치료 진행은 안 하고 이것저것 물어보고 자꾸 여러 가지 동작을 시켜보거나 일어서 보라고 해서 내 몸의 정면, 옆면. 후면을 체크합니다. 환자는 비싼 비용을 지불했는데 치료는 바로 안 해주고 시간 낭비한 기분이 들어 속상해합니다하지만 치료잘하는 물리치료사는 두번째 운동검사 및 이것저것 평가하는 물리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사(Orthopedic Phy.. 2025. 2. 10. 이전 1 2 3 4 5 6 다음